맨위로가기

이정식 (정치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식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안주에서 태어나 만주에서 성장한 정치학자이다. 6.25 전쟁 중 통역, 번역 업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와 버클리 캠퍼스에서 학위를 받았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학 강좌를 개설했고, 한국 공산주의, 한반도 분단, 한국 근현대사 관련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민족주의 정치》, 《김규식의 생애》, 《Communism in Korea》 등이 있으며, 2011년 경암상, 1974년 우드로 윌슨 재단상을 수상했다. 2021년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주시 출신 - 최정훈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최정훈은 1972년 드라마 《여로》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하며, 특히 여러 작품에서 이승만 대통령 역을 맡아 '이승만 전문 배우'라는 평을 받았고, 롯데제과 광고에도 출연했다.
  • 안주시 출신 - 김양건
    김양건은 1970년대부터 북한 노동당에서 활동하며 통일전선부장,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남북 고위급 회담에 참여했으나 2015년 교통사고로 사망한 북한의 고위 관료였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대한민국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존 유
    존 유는 대한민국 서울 출신 미국 법학자이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대학원 교수로,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법무부에서 테러 용의자 고문 허용 등의 법률 해석을 주도하여 논란을 일으켰으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 교육과학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이정식 (정치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글)이정식
이름 (한자)李庭植
로마자 표기I Jeongsik
출생1931년 7월 30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안주
사망2021년 8월 17일
사망 장소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주
국적미국
학력
학사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박사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1961년)
경력
직장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분야정치학
주요 저서"박정희: 빈곤에서 권력으로" (2012)
"한국 공산주의" (1973)
수상
수상 내역우드로 윌슨 재단상 (1974)

2. 초기 생애 및 교육

이정식은 1931년 일제강점기 안주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만주에서 보냈다.[3] 광복 후 북한 치하의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6.25 전쟁 발발 후 서울로 피난했다.[3][4] 전쟁 중에는 번역가로 활동하며 학업을 이어갔고,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UCLA와 UC 버클리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3][11]

2. 1. 유년 시절과 만주 이주

이정식은 1931년 7월 30일, 일제강점기 안주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 그는 세 살 때 가족과 함께 만주로 이주하여 어린 시절을 랴오양톄링 등지에서 보냈다. 1945년 광복 이후, 그의 가족은 랴오양에 발이 묶였다. 1946년 3월, 14세 때 아버지가 실종되면서 이정식은 집안의 가장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의 가족은 1948년에야 북한 치하에 있던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3][4] 이정식은 끝내 아버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했다.[3]

2. 2. 한국전쟁 참전과 도미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그의 가족은 서울로 피난했다. 그는 국방경비대 사건과 관련된 국방경비대에 입대하기 위해 훈련을 받기도 했다. 1951년부터 1953년까지는 연합군 고급 번역 및 통역 부서(ADVATIS)에서 번역가로 활동하며 중국인 포로를 심문하는 경험을 했다.[3]

이정식은 중학교를 졸업하지 못했지만, 배움의 기회를 꾸준히 찾았다. 전쟁 중에는 신흥대학교경희대학교에서 수업을 들었다. 두 학교 모두 정식으로 졸업하지는 못했으나, 경희대학교는 2014년 10월 그에게 명예 학사 학위를 수여했다. 그는 이전에 명예 박사 학위를 제안받았으나, 이미 박사 학위가 있었기에 이를 거절하고 원래 원했던 학사 학위를 요청했다고 한다.[3]

어릴 때부터 언어에 재능을 보였던 그는 아르바이트를 통해 중국어와 일본어를 익혔다. 1950년 6월 6.25 전쟁이 발발한 후에는 실습과 독학으로 영어를 습득했다. 영어로 일기를 쓰고 미군 병사들에게 수정을 부탁하며 작문과 문법 실력을 키웠다. 그는 1995년에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한 글을 쓰기도 했다.[3]

그의 뛰어난 능력과 성실함은 미국인들의 눈에 띄었다. 전쟁이 소강상태에 접어든 후인 1954년 1월, 그는 유학을 위해 미국으로 갈 기회를 얻었다.[3]

2. 3. 미국 유학 시절

195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UCLA)에 입학하여 최초의 한국계 미국인 중 한 명이 되었다.[11] 이 시기 생활비를 벌기 위해 식기 세척 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했다. UCLA에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모두 취득한 후, 1957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정치학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그의 뛰어난 언어 능력은 당시 동아시아 공산주의에 관한 연구를 구상하던 로버트 A. 스칼라피노 교수의 주목을 받았다. 두 사람은 함께 한국 및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16년간의 연구 끝에 1973년 ''Communism in Korea''를 공동으로 출판했다. 이 책은 우드로우 윌슨 재단 상을 수상하는 등 학계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11][3] ''Communism in Korea''는 이후 2017년에 ''North Korea: Building of the Monolithic State''라는 제목으로 개정되어 재출판되었다.[5]

3. 학문적 경력

이정식은 1963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해당 대학 최초의 한국학 강좌를 개설하고 가르쳤다. 이는 미국 내 한국학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그는 타계 시까지 이 대학의 명예 정치학 교수였다.[6] 또한 경희대학교 석좌교수,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용재 석좌교수를 역임하며 국내 학계와도 활발히 교류했다.[7]

그의 학문적 연구는 주로 한국 공산주의 역사, 한반도 분단, 대한민국 건국사 등 한국 현대사의 주요 쟁점과 이승만, 여운형, 박정희 등 핵심 인물들을 다루었다. 나아가 한국-일본 관계, 만주 지역 공산주의 운동, 동아시아 국제관계까지 연구 범위를 넓혔으며, 그의 저술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동아시아 연구 분야의 고전으로 인정받고 있다.[3][11]

50년 이상 역사 기록 수집에 헌신하며 실증적 연구를 중시했고, 학생들에게도 끊임없는 탐구와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요 저서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한국 민족주의 정치』 (The Politics of Korean Nationalismeng)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1963[8][9]
『김규식의 생애』신구문화사1974
『박정희: 가난에서 권력으로』KHU Press
『탈식민지 한국에 대한 21세기적 시각』경희대학교 출판부
자서전 (1974년까지의 삶)2020[11]



이 외에도 China Quarterly, Asian Survey, Journal of Asian Studies,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등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10]

3. 1.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교수 재직

이정식은 1963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치학과에 합류하여 이 대학 최초의 한국학 강좌를 개설하고 가르쳤다. 이는 이후 그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설립된 한국학과의 기반이 되었다. 그는 타계할 때까지 이 대학의 명예 정치학 교수였다.[6] 또한 경희대학교 석좌교수,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용재 석좌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7]

그의 학문적 연구는 주로 한국 공산주의의 역사, 한반도의 분단 과정, 그리고 대한민국 건국사를 다루었다. 또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 1940년대 정치인이자 통일 운동가였던 여운형, 그리고 군사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제3대 대통령 박정희와 같은 현대 한국사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한국-일본 관계, 만주 지역의 공산주의 운동,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대한 그의 저술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동아시아 연구 분야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3][11]

50년 이상 역사 기록 수집에 헌신한 그는 "다양한 기록을 읽으면서 특정 사건이 왜 발생했는지, 무엇이 사건 발생의 원인이었는지, 그리고 역사적 인물들이 왜 특정한 행동을 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학문의 진정한 발전은 반복적인 탐구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가르치며, "새로운 이론을 받아들이되, 그 이론이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는 호기심을 가지고 직접 조사하라"고 조언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민족주의 정치』(The Politics of Korean Nationalismeng,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3)[8][9]와 『김규식의 생애』(서울: 신구문화사, 1974)가 있다. 이외에도 『박정희: 가난에서 권력으로』(KHU Press)와 『탈식민지 한국에 대한 21세기적 시각』(경희대학교 출판부) 등을 저술했다. 그는 China Quarterly, Asian Survey, Journal of Asian Studies,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등 다수의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기고했다.[10] 2020년에는 1974년까지의 삶을 다룬 자서전을 출간했으며, "다음 기회를 위해 나머지 이야기는 남겨두었다"고 밝혔다.[11]

3. 2. 주요 연구 분야

이정식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 공산주의의 역사, 한반도 분단, 대한민국 건국 과정 등 한국 현대사의 핵심적인 문제들을 아우른다. 그는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1940년대의 중요한 정치인이자 통일 운동가였던 여운형, 그리고 군사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제3대 대통령 박정희와 같은 현대 한국사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했다.[8][9]

또한, 그의 연구는 한국-일본 관계, 만주 지역에서의 공산주의 운동사, 그리고 넓게는 동아시아의 국제관계까지 포괄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물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동아시아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3][11]

이정식은 50년 이상 역사 기록을 수집하는 데 헌신하며, 다양한 기록을 통해 역사적 사건의 원인과 배경, 그리고 인물들의 행동 동기를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학문의 진정한 발전은 반복적인 탐구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가르치며, 새로운 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할 것을 독려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민족주의 정치』(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3), 『김규식의 생애』(신구문화사, 1974), 『박정희: 가난에서 권력으로』(경희대학교 출판부), 『탈식민지 한국에 대한 21세기적 시각』(경희대학교 출판부) 등이 있다. 그는 China Quarterly, Asian Survey, Journal of Asian Studies,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와 같은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도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10] 2020년에는 1974년까지의 삶을 다룬 자서전을 출간했다.[11]

3. 3. 학문적 방법론

50년 이상 역사 기록 수집에 헌신한 이정식은 "다양한 기록을 읽으면서 왜 특정한 사건이 발생했는지, 무엇이 이러한 사건의 발생을 이끌었는지, 그리고 역사적 인물들이 특정한 행동을 취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며, 실증적인 자료 분석을 학문적 방법론의 기초로 삼았다.[11]

이러한 실증적 접근 방식은 그의 주요 연구 분야인 한국 공산주의 역사, 한반도 분단, 대한민국 건국 과정, 그리고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 1940년대 한국의 정치인이자 통일 운동가 여운형,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대한민국의 제3대 대통령 박정희와 같은 현대 한국사 주요 인물 연구에 일관되게 적용되었다.[3][11] 특히 한국-일본 관계, 만주 지역의 공산주의 운동,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대한 그의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동아시아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11]

이정식은 이러한 실증적 연구와 더불어 학문적 탐구 자세의 중요성 또한 강조했다. 그는 종종 학생들에게 "학문의 진정한 발전은 반복적인 탐구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했으며, "새로운 이론을 받아들이되, 그 이론이 설득력이 없을 때는 호기심을 가지고 조사하라"고 조언하며 끊임없는 질문과 검증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4. 주요 저서


  • 김규식의 생애』(신구문화사, 1974)
  • 『한국민족주의의 정치학』(한밭출판사, 1982)
  • 『조선노동당 약사』 김성환 옮김(서울: 이론과 실천, 1986)
  •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스칼라피노, 이정식 공저, 한홍구 옮김(서울: 돌베개, 1986-1987)
  •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청년시절』(서울: 동아일보사, 2002)
  • 『구한말의 개혁 독립 투사 서재필』(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이승만의 구한말 개혁 운동 : 급진주의에서 기독교 입국론으로』(대전: 배재대학교 출판부, 2005)
  • 『대한민국의 기원: 해방전후 한반도 국제 정세와 민족 지도자 4인의 정치적 궤적』(서울: 일조각, 2006)
  • 여운형 - 시대와 사상을 초월한 융화주의자』(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 「해방3년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남북한 정부수립 과정 비교, 1945-1948』 이철순 펴냄(고양: 인간사랑, 2010)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50554561 『이정식 자서전 - 만주 벌판의 소년 가장, 아이비리그 교수 되다』] (일조각, 2020) [11]
  • ''The Korean Nationalist Movement, 1905-1945''. Ph. D. Dissertation in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1961.
  • ''The Politics of Korean Nationalism''.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5.[8][9]
  • ''Counterinsurgency in Manchuria: The Japanese Experience, 1931-1940''. Santa Monica, Calif: Rand Corporation, 1967.
  • Scalapino, Robert A., and Chong-Sik Lee. ''Communism in Kore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 ''Materials on Korean Communism: 1945 - 1947''. Honolulu: Univ. of Hawaii, 1977.
  • ''The Korean Workers' Party: A Short History''. Stanford, California: Hoover Institution Press, 1978.
  • ''Revolutionary Struggle in Manchuria: Chinese Communism and Soviet Interest, 1922-1945''. Berkeley: Univ. of California Press, 1983.
  • ''Japan and Korea: The Political Dimension''. Stanford, Calif: Hoover Institution Press, Stanford University, 1985.
  • Lee, Chong-Sik, and Michael Langford. ''Korea, Land of the Morning Calm''. New York, N.Y.: Universe Books, 1988.
  • ''In Search of a New Order in East Asia''. Berkeley, Calif: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1991.
  • ''Korea Briefing, 1990''. Boulder: Asia Society, 1991.
  • ''Syngman Rhee: The Prison Years of a Young Radical''.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2001.
  • ''Park Chung-Hee: from poverty to power''. Seoul: Kyung Hee University Press, 2013.

5. 수상


  • 1974년: 우드로 윌슨 재단상 (Woodrow Wilson Foundation Awardeng), 미국정치학회, 미국에서 출판된 정부, 정치 또는 국제 문제 분야 최우수 도서[11]
  • 2011년: 경암상, 경암교육문화재단[12]

참조

[1] 서적 Crossing Empire's Edge: Foreign Ministry Police and Japanese Expansionism in Nor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웹사이트 Eminent Scholar Chong-sik Lee Receives Kyung-Ahm Prize http://khu.ac.kr/eng[...] 2016-03-04
[3] 웹사이트 https://shindonga.do[...] 2021-09-16
[4] 서적 Park Chung-Hee: From Poverty to Power https://books.google[...] KHU Press 2012
[5] 웹사이트 Chong-sik Lee, 86,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during wartime, says earthly miracles saved his life https://www.inquirer[...] 2017-11-29
[6] 웹사이트 2014 University Lecture on "Korean Thought on Independence Revisited in the 21st Century" https://archive.toda[...] Kyung Hee University
[7]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21-08-18
[8] 서적 Sourcebook of Korean Civilization: Volume Two: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to the Moder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8-13
[9]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1-04-21
[10] 서적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igins and Current Tactics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11] 웹사이트 Chong-Sik Lee, Political Science https://almanac.upen[...] 2021-09-21
[12] 웹사이트 Eminent Scholar Chong-sik Lee Receives Kyung-Ahm Prize https://www.khu.ac.k[...] KYUNG HEE UNIVERSITY 2012-11-23
[13] 뉴스 한국 공산주의 기원 파헤친 이정식 교수 별세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1-08-19
[14] 뉴스 '[서평] 이정식 자서전: 만주 벌판의 소년 가장, 아이비리그 교수 되다 : 개인 차원 뛰어넘어 파란만장한 민족 역사의 기록' https://weekly.donga[...] 주간동아 2020-09-19
[15] 뉴스 이정식 펜실베이니아대 교수의 인생 유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1-11-09
[16] 문서 en: Chong-Sik L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